꼭 알아야 할 부동산 - 세금/임대2 부동산 임대(주택 외)에 관한 종합소득세와 건강보험료(근로소득자) 1. 소득세 과세 방법 소득세 과세 방법 종합 과세 분류 과세 분리 과세 종합소득금액 이자소득 퇴직소득 종합과세의 예외사항 원천징수로 종결 배당소득 양도소득 사업소득 따로 분류해서 각각 과세 근로소득 연금소득 기타 소득 2. 종합소득세 세액 계산의 이해 가. 세액 계산 흐름도 나. 종합소득금액 1) 종합소득금액 합산 기준 금액 합산 기준 금액 이자소득 배당소득 사업소득 근로소득 연금소득 기타 소득 수익 수익 (+)수익 (+)수익 (+)수익 (+)수익 비용 인정 없음 비용 인정 없음 (-)비용 (-)비용 (-)비용 (-)비용 (=)이자소득금액 (=)배당소득금액 (=)사업소득금액 (=)근로소득금액 (=)연금소득금액 (=)기타소득금액 금융소득금액 (이자소득+배당소득) 공적 사적 300만 초과시 2000만원 초.. 2023. 10. 7. 주택의 임대와 관련된 세금(주택임대소득에 관한 종합소득세) 1. 주택임대소득 과세요건 및 주택수의 계산 가. 주택임대소득 과세요건 - 1주택 : 기준시가 12억원 초과 주택에서 월세수입이 있는 경우만 주택임대소득세 납부 - 2주택 : 월세수입 과세, 보증금 등 간주임대료 수입은 비과세 - 3주택이상 : 월세 과세, 보증금 등 간주임대료 수입 과세 ※ 보유 주택수의 기준은 부부합산임!! 세대를 구성하는 직계존비속의 소유 주택수를 합산하지 않음 (나. 주택수 내용 참고) 부부 + 자녀 2명인 4인 가족으로 구성된 1세대 3주택의 경우 (3주택 모두 기준시가 12억 미만) 부부 기준 주택 임대 소득 과세 여부 월세 보증금 등 부부합산 3주택 과세 과세 부부 합산 2주택, 자녀 중 1인 명의로 1주택 과세 비과세 부부 합산 1주택, 자녀 각각 1주택 비과세 비과세 ※ .. 2023. 9. 26. 이전 1 다음